2025년 카드 소득공제 폐지와 현명한 대처법 알아보기

카드 소득공제 폐지가 가시화되면서 직장인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2025년 12월 31일 일몰을 앞둔 신용카드 및 체크카드 소득공제 제도의 폐지로 약 569만 명의 직장인이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연봉에 따라 최대 49만원의 추가 세금이 발생할 수 있어 체계적인 준비가 필수적입니다.

카드 소득공제 폐지 논의는 국가 재정 상황과 연관이 깊습니다. 국세청 공식 홈페이지에 따르면, 2023-2024년 약 87조원의 세수 결손이 발생했고, 2025년에도 17조원의 세수 부족이 예상되는 상황입니다. 1999년 도입된 이후 20년 넘게 연장된 카드 소득공제는 당초 목표였던 자영업자 과표 양성화가 달성되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현재 신용카드는 15%, 체크카드와 현금영수증은 30%의 공제율이 적용되며, 연봉 7천만원 이하 직장인은 최대 300만원까지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소득 구간별로 살펴보면, 연봉 1,000만원 초과~2,000만원 이하는 약 10만원, 4,000만원 초과~6,000만원 이하는 약 28만원, 5,000만원 직장인은 최대 49만 5천원의 추가 세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한 대응책으로 다양한 절세 방안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연금계좌 납입을 통한 세액공제(연간 900만원 한도), 주택청약저축 소득공제(월 25만원, 연 300만원 한도), 의료비·교육비 세액공제, 기부금 세액공제, 월세 세액공제 등을 적극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효과적인 절세를 위해서는 홈택스 연말정산 서비스를 활용하여 지출 실적을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맞춤형 절세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불필요한 지출을 줄이고 절약한 금액을 세액공제가 가능한 상품에 투자하는 장기적 재정 관리도 필요합니다.

현재 야당을 중심으로 2030년까지 일몰 연장 법안이 발의된 상태이며, 완전 폐지보다는 공제율이나 한도를 축소하는 방향으로 조정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따라서 정부 정책 동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각 상황에 맞는 대응책을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